LikeTech.codes
First, solve the problem.Then write the code. - John Johnson
클레이튼 네트워크 위에 존재하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Klaytn Endpoint Node 없이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api 서비스 입니다.

More Articles
Spring AOP
안녕하세요. 오늘은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즉 관점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절차 지향, 객체 지향은 많이 들어보았는데... 관점..?

Daily design pattern - 데코레이터 패턴 - decorator pattern
안녕하세요. 오늘은 데코레이터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략 패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Kaggle - I'm Something of a Painter Myself
오늘은 Kaggle competitions에서 I'm Something of a Painter Myself라는 대회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해보겠습니다! 완전히 data science를 접해보시지 않은 분들을 기준으로 글을 쓰기 위해서 Kaggle이 뭐하는 곳인지 먼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Unit test, Integration test, Functional test
오늘은 unit test, integration test, E2E(End to End) tes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CI/CD(지속적 통합/개발)를 통해 제품을 관리하고 있기때문에 개발 조직에서의 테스트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github with sourcetree
github에 sourcetree를 이용해서 push하려고 했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서 실패하였다.

내가 보려고 만든 kafka 명령어 모음
요새 카프카 관련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래서 카프카 명령어를 확인할 일이 있는 데, 내가 자주 쓰는 카프카 명령어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적어놓으려고 한다.

stringbuilder, stringbuffer
이전 블로그에서 확인하면 알 수 있지만 immutable한 string은 concat이나 + 기호로 변화시키려고 하면 변화되지 않고 계속 새로운 메모리를 소모합니다. 하지만 stringbuilder, stringbuffer는 mutable합니다.

macOS버전에 따라 동작 가능한 iOS 시뮬레이터 버전이 달라진다?
웹뷰 개발을 하다보면 오래된 시뮬레이터 버전에서 테스트를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그런데 xcode 에서 해당 버전이 안보여서 정말 난감한 경험을 했습니다.

string
오늘부터 String과 StringBuilder와 StringBuffer의 차이점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그 중에 이번 블로그에서는 String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합니다. 특히, String의 불변성, thread-safe 측면에서 설명할 것입니다.

entity-state-2
이전 글에 대해서는 hibernate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hibernate가 entity 객체들을 어떻게 관리하는 지를 알아보자.

java, jpa code improvement
개인적으로 기술이나 개념을 배웠으면, 실제로 코딩해보고 실행시켜보고 그 결과를 봐야지 진짜 내 것이 되는 첫 번째 발판이라고 생각한다.

entity-state
이전 글에 대해서는 hibernate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hibernate가 entity 객체들을 어떻게 관리하는 지를 알아보자.

Daily design pattern - 관찰자 패턴 - observer pattern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찰자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찰자 패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Daily design pattern - 전략 패턴 - strategy pattern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략패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략 패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JPA n+1 문제
오늘은 JPA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인 N+1 문제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JPA를 통해서 많은 코드 작성을 하지 않아도 RDBS를 객체 지향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지만, 장점이 있는 만큼 세심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비효율적인 동작을 할 수 있습니다.

jpa value mapping - 2
jpa value mapping -1 post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jpa value mapping에서는 value가 primitive 타입인 경우만 다뤘었다. 그렇다면 객체 타입도 column으로 mapping이 가능할까 하는 궁금증이 생긴다.

jpa value mapping - 1
jpa-entity-mapping post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객체에서 entity type은 database에 table 개념으로 mapping되는 개념이다. 객체에서 value type은 database에 column 개념으로 mapping되는 개념이다.

JS Named Parameter 실패사례
이 스타일을 사용하면 빠른 개발 속도로 여러명이 수정하는 코드에서 파라미터에 이름을 사용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아서 도입했다.

HOC(Higher-Order Component) 간단하게 알아보기
라이브러리 사용때 많이 듣게 되는데 너무나 당연하게 축약어를 사용하였어서 당황했던 경험이 있었다.

Jest spyOn으로 unit test function mocking 하기
최근 개발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읽었던 소프트웨어 장인이라는 책에서 나왔던 TDD(Test Driven Development)를 나의 업무에 적용해 보고자 했다.
